스웨덴의 대표적인 생활용품 브랜드인 이케아(IKEA)가 들어오면서, 우리 일상 속에서도 북유럽 디자인을 많이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생활 속 전반에 북유럽 디자인이 유행하게 된 건 오래된 얘기지만, 아직까지 그 인기가 식지 않은 것엔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북유럽 디자인, 또는 노르딕 디자인이라는 단어는 누구나 한 번은 들어봤을 겁니다. 또,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이라고도 하죠. 이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이라는 말이 처음 탄생한 건, 1951년 영국 런던입니다.
런던의 한 가구점에서 북유럽의 가구들을 모은 전시를 했는데, 이 전시의 이름이 스칸디나비안 디자인 포 리빙(Scandinavian Design for Living)이었거든요. 이 전시를 통해 실용적이고 오가닉한 매력의 북유럽 디자인이 유럽 전역과 미국 등으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그 후에도 1954년부터 1957년까지 미국과 캐나다에서 개최한 디자인 인 스칸디나비아(Design in Scandinavia)라는 전시회를 통해, 북유럽 디자인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확립할 수 있었습니다.
북유럽(Northern Europe)은 유럽의 북부를 가리키는 지명이에요. 현재는 스칸디나비아 제국(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아이슬란드 5개국을 말합니다.
북유럽은 겨울이 깁니다. 1년 중 겨울이 무려 9개월이나 지속되는데요. 3개월의 여름 기간을 제외하고는, 하루 중 해를 볼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답니다. 춥고 긴 겨울 때문에, 북유럽 사람들은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아주 많습니다. 이런 이유로 북유럽은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에 특히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오래 보아도 질리지 않고 생활하기 편하도록, 심플하고 기능 중심적인 디자인이 자리를 잡았죠.
겨우내 활동 반경이 넓지 않은 북유럽 사람들은, 자연스레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을 다각도로 연구하기 시작했는데요. 이 재료는 바로 나무입니다. 북유럽은 산과 숲이 많아 원목의 공급이 원활하기도 하고, 서늘하고 습하지 않은 기후 덕분에 원목의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아 보존이 쉽거든요. 이런 원목 재료들은 밝고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좋답니다.
북유럽 디자인은 이처럼 고유의 감성이 독특해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또 다른 특징들이 뭐가 있는지 한번 정리해 볼게요.
―
심플하고 미니멀한 감성
야외활동보다 실내활동을 더 많이 하는 북유럽 사람들에게는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그래서 불필요한 장식들을 배제하여 굉장히 심플하고 미니멀한 느낌의 디자인을 하게 되었어요. 생활에 필요한 가구들을 많이 두어도 복잡하지 않고 편하게 생활할 수 있기 때문이죠.
―
기능에 집중한 실용주의
앞서 말한 미니멀리즘과 연계되는 부분입니다. 북유럽 디자인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실용주의'인데요. 사물의 본질, 그리고 기능 자체에 집중한 디자인을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하기는 편하면서도 시각적으로는 굉장히 모던하고 단순한 디자인이 나오게 되겠죠.
―
밝고 독특한 패턴과 컬러
앞서 말한 북유럽 지역 기후의 영향으로 보여요. 일조량이 적은 겨울이 길게 지속되다 보니, 주거공간을 밝고 따뜻하게 꾸미고 싶어 하는 북유럽 사람들의 심리가 반영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하학적이고 독특한 패턴은 물론, 밝고 경쾌한 느낌의 컬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자연과 동화되는 디자인
자연에서부터 온 원목 같은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다는 점도 있지만, 무엇보다 깔끔하고 곡선적인 디자인이 자연을 닮았다는 특징이 있어요. 시각적으로도 자연에서부터 모티프를 가져온 유연하고 유기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죠. 어느 환경에 두어도 잘 어울리는 디자인입니다.
간결하고 단순하고 실용적이면서 자연을 닮은, 북유럽 디자인. 북유럽의 제품들은 우선 사용자를 중심으로 만들어져 누구나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고 질리지 않는 심플한 외관으로, 오랫동안 사랑을 받아오고 있습니다. 현대의 우리들은 너무 많이 소유하고 채워지는 세상 속에 살고 있죠. 그래서 불필요한 요소들을 털어내고 점점 간결해지는 것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 같아요. 그런 의미에서 북유럽 디자인은 꾸준하게 사랑받는 스타일이 될 것 같네요.
by 브랜드 디자이너 유단희
yudanhee@brancos.co.kr
브랜드 마케팅 스튜디오, 브랜코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고 디자인, 상표등록을 위한 유형 정리 (0) | 2019.08.30 |
---|---|
명함 만들 때 알아두면 좋은 정보 2가지 (0) | 2019.08.13 |
'재난 대비 키트'가 디자인을 만났을 때 (0) | 2019.08.05 |
유명 로고 속 숨겨진 비하인드 스토리 4가지 (0) | 2019.07.01 |
폰트 자체는 원래 저작권이 없다? 사실은, (0) | 2019.06.21 |